728x90

서론


전통적인 레이어드 아키텍처로 프로젝트를 개발하며 점점 문제점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서비스가 조금씩 커지거나 요구사항의 확장이 진행되며 점점 더 복잡해지면서 유지보수에 점점 더 많은 시간이 쓰이고 있었다. 많은 서비스를 담당하는 엄청난 서비스, 영속성 계층인 데이터베이스에 의존성이 점점 커지는 것 등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민이 있던 와중 평소에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도메인 주도 설계, 클린 아키텍처, 헥사고날 아키텍처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왔으나 "클린 아키텍처는 뭐고, 헥사고날 아키텍처는 뭐지?, 둘의 차이는 무엇이고 그래서 어떤 아키텍처를 사용하란 걸까? " 하며 항상 헷갈려했다.

이러한 아키텍처들이 왜 등장하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계층형 아키텍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싶어 찾아보게 되었다.

조금 조사하던 와중 DDD는 조금 더 큰 영역의 내용인 것 같아 추후에 다시 작성하도록 하고 먼저 클린아키텍처에 대해서 가볍게 훑은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중요할까?


정말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중요한 걸까?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가치는 두 가지가 있다고 한다. 바로 기능과 구조이다. 기능과 구조에서 조금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평소에는 기능이라고 생각해 왔다. 우리가 만드는 애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의 목적은 바로 비즈니스를 관장하는 규칙이나 정책을 반영한 모델을 만들어서 사용자가 기능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로버틴 C. 마틴은 구조의 중요성은 언급한다. 왜일까? 바로 우리가 원하는 것은 더 정확하게, 더 빠르게, 더 많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코드를 읽고, 이해하고,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보수하는데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잘 생각해 보면 레거시 프로젝트이든 최근에 만든 프로젝트이든 새로운 코드를 짜는 것보다 기존 코드를 바꾸는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쓰는 것이 생각났다.

즉 구조가 좋다는 것은 수정의 비용이 적다는 것이다.

 

좋은 아키텍처 - 1. 계층형 아키텍처


그렇다면 좋은 아키텍처에는 무엇이 있을까?  첫 번째로 계층형 아키텍처다. 사실 계층형 아키텍처는 계층을 잘 이해하고 구성한다면 웹 계층이나 영속성 계층에 독립적으로 도메인 로직을 작성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기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계층형 아키텍처의 가장 큰 단점은 도메인 계층이 영속성 계층을 의존하는 데이터베이스 주도 설계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도메인 로직을 여러 계층에 흩어지게 만들기 쉬운 아키텍처이다. 기능 기반으로 패키지를 구성하여도 계층적 구조는 동일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g6Tg6_qpIVc

 

 

좋은 아키텍처 - 2. 클린 아키텍처


로버트 마틴은 클린 아키텍처라는 용어를 정립했다. 클린 아키텍처에서는 설계나 비즈니스 규칙의 테스트를 용이하게 하고, 비즈니스 규칙은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ui 기술, 그 밖의 외부 애플리케이션이나 인터페이스로부터 독립적일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이 말은 도메인 코드가 바깥으로 향하는 어떤 의존성도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의존성 역전 원칙의 도움으로 모든 의존성이 도메인 코드를 향하고 있는 아키텍처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g6Tg6_qpIVc

 

헥사고날 아키텍처?


헥사고날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코어가 각 어댑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특정 포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포트 어댑터 아키텍처라고도 불린다. 육각형이란 단어에는 아무런 뜻도 없으며 중요한 것은 육각형 안에는 도메인 엔티티와 이와 상호작용하는 유스케이스가 있다. 육각형에서 외부로 향하는 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클린 아키텍처에서 제시한 의존성 규칙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점을 주목하자. 대신 모든 의존성은 코어를 향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g6Tg6_qpIVc

 

클린아키텍처의 애매함

클린 아키텍처는 핵심 규칙 외에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 애매한 지점이 많다. 애매할 때는 아래의 기준점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1. 필요한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보수하는 데 투입되는 인력 최소화에 유리한가?
2. 소스 코드 의존성이 안쪽으로, 고수준의 정책을 향하고 있는가? 
3. 세부 사항이 변경되어도 도메인(핵심 규칙)에 변경이 없을 것인가?
4. 테스트하기 쉬운가?
5. 각각의 아키텍처 원칙들을 잘 지키고 있는가?

 

클린아키텍처는 항상 좋을까?

위에서 말했듯이 전통적인 계층적 아키텍처도 충분히 영속성 계층에 독립적으로 도메인 로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클린 아키텍처도 항상 좋을 것은 아니다.

 

외부 계층과 철저하게 분리돼야 하므로 애플리케이션 엔티티에 대한 모델을 각 계층에서 유지보수해야 한다. 따라서 코드의 절대적인 양이 많아질 것이며, 프로젝트 개발자 모두가 클린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있지 않을 때 혹은 모두가 사용하기로 합의하지 않았을 때에는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728x90

+ Recent posts